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내 집 마련 비용 총정리

정보

by 째로 2025. 2. 11. 19:00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내 집 마련에 대한 비용을 총정리하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집은 평생 한채를 장만하기도 벅찰 정도로 큰 돈이 들어갑니다.

부동산 가격이 너무 많이 올라 20,30대에겐 꿈 같은 얘기 입니다.

 

그래도 내 집을 마련하기 위해선 어떤 비용이 들어가는지 알아봐야겠지요?

그럼 같이 하나하나 알아봅시다.

 


 

집을 장만하기로 마음먹으면 

  1. 가계약금 (계약금의 10%)
  2. 계약금 (매매가의 10%)
  3. 중도금 (매매가의 40%)
  4. 잔금 (매매가의 50%) + 부대비용

순서로 지불하게 됩니다.

 

첫 집을 마련하는 분들은 부대비용이라는 생소한 단어가 보이실겁니다.

오늘은 부대비용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부대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무사 비용 = 취득세 + 국민주택채권 + 인지대 + 증지대 + 법무사비

은행 = 담보대출 설정비 + 대출 중개 수수료

부동산 중개수수료  

선수관리비

장기수선충당금

 


 

법무사 비용
  • 취득세

1주택자 : 1,000,000,000원 * 1.5% = 15,000,000원

2주택자 : 1,000,000,000원 * 8.0% = 80,000,000원

3주택자 : 1,000,000,000원 * 12.0% = 120,000,000원

 

  • 국민주택채권

국민주택채권은 주택을 구입하면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하지만 보통은 주택 매입과 동시에 매도합니다.

국민주택채권은 주택도시기금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하니 아래 링크를 통해 열람해 주세요.

 

주택도시기금

 

주택도시기금

주택도시기금 소개, 주택구입(내집마련디딤돌 등), 전세자금, 월세대출, 국민주택채권, 주택청약, 신혼부부대출

nhuf.molit.go.kr

 

  • 인지대

100,000,000원 초과~1,000,000,000원 이하 : 150,000원

1,000,000,000원 초과 : 350,000원

 

  • 증지대

등기신청 수수료 : 15,000원(건당 부과로 공동명의일 경우 30,000원)

 

  • 법무사비

약 1,000,000원(수수료 포함)

 

 

은행

 

  • 담보대출 설정비

약 300,000원~500,000원

 

  • 대출 중개 수수료

금융사마다 다름

 

부동산 중개수수료

 

  •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거래금액별로 상한요율이 정해져 있습니다.

출처 : 서울부동산정보광장_중개수수료 상한요율표

 

예를들어 1,000,000,000원 아파트를 매매할땐 0.5% 상한요율을 적용해서 약 5,000,000원 정도 나오게 됩니다.

 

선수관리비

 

  • 선수관리비는 매수자가 매도자에게 주는 비용으로 공동시설 유지 및 관리 비용입니다. 선수관리비의 정확한 금액은 관리사무실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장기수선충당금

 

  • 장기수선충당금은 엘리베이터 관리비용, 외벽 페인트등 시설물의 관리비용으로 원래는 집주인이 내야하지만 편의상 관리비에 포함하여 임차인이 대신 내고 이사갈때 집주인에게 받는 금액입니다. 장기수선충당금의 정확한 금액은 해당 관리사무실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이상으로 내집 마련을 위한 비용중에 부대비용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내집 마련을 위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2025.02.10 - [정보] - 25년 암호화폐 시장을 이끌 코인

 

25년 암호화폐 시장을 이끌 코인

안녕하세요. 오늘은 암호화폐에 관해 얘기해 보려고 합니다. 몇일 전 비트 코인이 100,000달러를 돌파하며 암호화폐 시장을 뜨겁게 달구었습니다. 현재는 100,000달러와 90,000달러 사이

jaeky07.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